본문 바로가기
종교학 역사학

그리스 종교

by 까롱 2022. 7. 7.
반응형

고대 그리스 종교

문서 설명 추가
고대 그리스교(Ancient Greek religion)는 고대 그리스(기원전 1100년경~기원전 146년)에서 신앙 되고 실천되었던 믿음들과 의식들을 통칭하는데, 여기에는 대중적인 공공의 종교들과 이들과는 차이가 있는 컬트 종교들이 모두 포함된다. 비록 이들 종교들의 대다수에 공통되는 유사점들이 있기는 하지만, 이들은 서로 간에 뚜렷이 구분되기 때문에 "고대 그리스 종교들" 또는 "고대 그리스 컬트 종교들"이라고 복수형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더 적합한 표현일 수도 있다. 또한 고대 그리스 종교는 그리스 외부의 다른 지역과 섬들로 확산되어 믿어지고 실천되었다.



고대 그리스의 주요 성지

기원전 550년경의 그리스(파랑)와 페니키아(빨강)의 식민지
기원전 6세기의 지중해. 그리스의 도시는 빨강, 페니키아의 도시는 노랑, 다른 도시들은 회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아르테미스 (사냥의 처녀 여신)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풍요와 생식의 여신)
고대 그리스인들 대다수는 다신교를 믿었는데 다음의 신들을 자신들의 종교적 신앙 체계의 주요 남신과 여신으로 여겼다: 제우스, 포세이돈, 하데스, 아폴로, 아르테미스, 아프로디테, 아레스, 디오니소스, 헤파이스토스, 아테나, 헤르메스, 데메테르, 헤스티아, 헤라. 고대 그리스 종교의 주류는 다신교였지만 스토아 철학의 철학자들과 플라톤 철학의 몇몇 유파의 종교적 · 철학적 표현에는 초월적인 단일식을 상정한 것이 보인다. 고대 그리스의 서로 다른 도시들이 동일한 신을 숭배하는 경우가 흔하였다. 하지만 동일한 신을 숭배하면서도 각 도시는 그 신에 대해 자신만의 호칭 또는 별칭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름은 동일하나 모습과 숭배하는 면이 전혀 달라 사실상 다른 신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한 경우도 있었다. 예를 들어 아르테미스는 스파르타에서는 사냥의 처녀 여신으로 숭배되었는데 에페소스에서 다수의 젖가슴을 가진 풍요와 생식의 여신으로 숭배되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의 종교적 교의와 수행 및 실천은 그리스 본토를 넘어 확산되었는데, 아나톨리아(소아시아)의 이오니아 지역의 섬들과 해변 지역, 마그나 그라 이케아(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 지역), 마르세유와 같은 서부 지중해 연안의 그리스 식민지들이 해당 지역들이다. 고대 그리스 종교는 에트루리아인들의 컬트 종교와 믿음과 혼합되고 융합되었는데 이의 결과물은 후대의 고대 로마 종교의 근간이자 큰 분량이 되었다.

믿음
고대 그리스인들 모두가 빠짐없이 지녔던 보편적인 종교적 개념은 거의 없었다고 할 수 있지만, 다수의 고대 그리스인들이 공유하였던 공통적인 믿음들은 존재하였다.

신학
신들의 왕이자 천둥과 하늘의 신인 제우스
백조를 타고 있는 아프로디테: 흰색 배경 위에 빨간색 인물이 그려진 아티카 양식의 킬릭스, 460년경, 로도스 섬의 카메이 로트에서 발견
고대 그리스의 신학은 다신교에 기반한 것이었다. 즉, 많은 남신과 여신들이 있다는 가정에 기반하여 신학이 전개되었다. 제우스를 신들의 왕으로 하는 신들의 하 이거라 키(계급 체계)가 있었는데, 제우스는 비록 전능한 존재는 아니었지만 다른 모든 신들과 존재들을 지배하는 수준의 권능을 지녔다.  어떤 신들은 자연의 특정 측면에 대해 지배권을 가졌다. 예를 들어, 제우스는 하늘의 신으로 천둥과 번개를 내릴 수 있었다. 포세이돈은 바다와 지진을 다스리는 권능을 가졌다. 하데스는 죽음의 영역과 지하 세계 전역에서 권능을 행사하였다. 그리고 헬리오스는 태양을 지배했다. 또 다른 신들은 추상적인 개념을 지배했는데, 예를 들어 아프로디테는 사랑의 지배자였다.

고대 그리스의 신들은 불멸한 존재이기는 했으나 전능한 존재는 아니었다. 그들은 모두 운명에 복종해야 했다. 즉, 신들은 운명의 권능에 지배당하는 존재들이었다. 예를 들어, 트로이 전쟁 후에 고향 이타카로 되돌아가는 것은 오디세우스의 운명이었다. 그가 고향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그의 운명이었기 때문에, 신들은 그의 여행 시간이 더 길어지게 하거나 여정이 더 힘들어지게 할 수는 있었어도 그가 자신의 고향으로 되돌아가는 것 자체를 막지는 못하였다.

고대 그리스의 신들은 인간처럼 행위 했으며 인간의 덕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들은 인간과 교류하였으며 심지어 인간과 결혼하여 자식을 낳는 경우도 있었다. 때때로 어떤 신들이 다른 신들에 대항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 경우 서로는 상대를 이기기 위해 애쓰곤 했다.  예를 들어 《일리아스》에서는 트로이 전쟁 때 제우스, 아프로디테, 아레스, 아폴론은 트로이를 지원했고 반면 헤라, 아테나, 포세이돈은 그리스를 지원했던 것으로 나온다. (신들의 전쟁을 뜻하는 테오 마키(Theomachy) 문서를 참조하시오.)

어떤 신들은 특정 도시와 특별히 관련되어 있었다. 아테나는 아테네와, 아폴론은 델포이와 델로스 섬과, 제우스는 올림피아와, 아프로디테는 코린토스와 관련되어 있었다. 다른 신들은 그리스 밖의 국가들과 관련되어 있었는데, 포세이돈은 에티오피아와 트로이와, 아레스는 트라키아와 관련되어 있었다.

복수의 컬트 종교에서 숭배하는 신의 이름이 같다고 해서 그 컬트 종교들이 서로 유사한 것은 아니었다. 그리스인들은 스파르타에서 숭배하는 사냥의 처녀 여신으로서의 아르테미스가 에페소스에서 숭배하는 많은 젖가슴을 가진 모습의 생식과 풍요의 여신으로서의 아르테미스가 서로 매우 달랐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일리아스》와 같은 문헌은 신들 간의 갈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 갈등들은 신들의 숭배자들이 지상에서 전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갈등 있으며 신들의 갈등은 지역 신들의 지상에서의 현 상태가 천상에 반영된 것이었다.  주요 신들에 대한 숭배가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고 대부분의 대도시에서는 예닐곱의 복수의 신들에게 바쳐진 복수의 사원들이 있었지만, 지역이 다르면 숭배하는 신이 달랐던 것은 고대 그리스 종교가 끝나는 시점까지 강하게 유지되어온 현상이었다.

사후 세계
그리스 사후 세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하데스와 수문장 케르베로스
그리스인들은 죽은 자의 영혼이 가는 사후 세계 또는 지하 세계(underworld · 명계 · 황천 · 하계)가 있다고 믿었다. 그리고 장례식을 치르지 않으면 그 사람의 영혼은 사후 세계로 가지 못하고 유령이 되어 영원히 세상을 떠돌게 된다고 믿었다. 고대 그리스 종교에서는 사후 세계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가 있었으며 이 관념들은 시대가 지나면서 변화하였다.

사후 세계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하데스(Hades)였다. 하데스는 제우스의 형제인 하데스라는 이름의 신이 지배하는 영역이었다. 신 하데스의 영역은 원래 "하데스의 장소"라고 불리었는데 후에 그냥 "하데스"라고 불리게 된 것이다.  타르타로스(Tartarus)라고 불리는 다른 영역은 영겁의 정죄(定罪)를 받은 자들이 가는 고통과 참회의 장소, 즉 지옥에 해당하는 장소라고 생각되었다. 또 다른 영역인 엘리시움(Elysium)은 즐겁고 기쁜 곳, 즉 천국에 해당하는 장소로, 덕이 있는 자나 신비 가르침 또는 신비 종교의 비전이들이 사후에 거주하게 되는 장소라고 여겨졌다.

초기 미케네 시대의 종교에서는 죽은 자는 모두 하데스로 간다고 믿었는데 이는 초기 유대교에서 죽은 자는 모두 시올(Sheol)로 간다고 믿었던 것과 동일하다. 《오디세이아》 제11권에서 오디세우스가 하데스를 방문했을 때, 아킬레우스는 오디세우스에게 말하길 하데스의 왕이 되느니 차라리 지상의 농부의 종이 되겠다고 말하였다. 그리스 고졸기에 신비 가르침 또는 신비 종교가 흥 기하면서 타르타로스와 엘리시움과 같은 장소와 이에 대한 교의가 나타났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아킬레우스, 알크메네, 암피아 라오스 가니 메다 스, 이노, 멜리 케르테스, 메넬라오스, 펠레우스와 같은 소수의 인물과 트로이 전쟁과 테베 전쟁에서 싸웠던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결국 육체를 가진 상태로 불멸화되어서 엘리시움, 축복받은 자의 섬(Islands of the Blessed), 하늘, 바다, 혹은 땅 바로 아래의 장소에서 영원히 살고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믿음들은 그리스 고졸기(기원전 800~500)에 하층 계급의 사람들이 그리스 사회와 정치에서 더 큰 역할을 하기 시작하면서 전개되고 발달되었다.

반응형

'종교학 역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슬람교  (0) 2022.07.07
누르 앗딘  (0) 2022.07.07
그리스 신화  (0) 2022.07.06
종교적 정체성  (0) 2022.07.06
종교개혁가  (0) 2022.07.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