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학 역사학

종교개혁가

by 까롱 2022. 7. 6.
반응형

종교개혁가들의 신학

문서 설명 추가
종교 개혁가들의 신학(Theology of the Reformers)은 16세기 당시 교회의 부패에 대하여 성경의 권위와 믿음 그리고 오직 은혜로 구원을 강조했던 종교 개혁가들에 의해서 형성된 신학이다. 루터는 성직자가 유일한 제사장이라는 것을 거부하고 모든 성도들이 만인 제사장이라고 강조하였으며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얻은 칭의 즉 이인칭의 와 오직 성경, 오직 은혜를 강조하기 시작했고, 울리히 츠빙글리의 신학은 하나님의 주권과 성경의 권위를 강조하며, 존 칼빈의 신학은 이 두 개혁자들의 신학을 발전시켜 체계화한 개신교(프로테스탄트) 신학을 더 완성해 놓았다. 종교 개혁가들의 신학은 종교 개혁 이전의 선구자들 즉 위클리프, 롤라든, 얀 후스, 그리고 틴들과 같은 교회 개혁 운동가들과 르네상스와 인문주의라는 사상으로부터 강하게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종교개혁가들의 신학은 종교개혁 신학의 두 가지 흐름을 형성하였는데, 마르틴 루터와 토머스 크랜머와 같은 '온건적' 종교개혁 신학 사상과 울리히 츠빙글리와 장 칼뱅과 같은 '급진적' 종교개혁 신학 사상이 등장하였다.  '온건적' 종교개혁 신학 사상은 서방교회의 전통 중에서 비기독교적인 요소를 공교회 전통과 성경에 따라 제거하거나 수정하고자 하는 '개선주의 종교개혁' 사상을 형성하였고, '급진적' 종교개혁 신학 사상은 서방교회의 전통 전체를 비기독교적 요소로 보고, 공교회 전통과 성경에 따라 새롭게 형성하고자 하는 '재건 주의 종교개혁' 사상을 구성하였다. 이 두 가지 흐름은 상호 영향을 주고 발전하여 지금까지도 현대 개신교회의 신학 사상에 영향을 주고 있다.


종교개혁 500주년 기념 공동학술대회 도서들
종교 개혁가들의 신학
첫 출발
앨리스터 맥그라스에 따르면 종교 개혁이 무엇인지를 먼저 규명하고 철저한 자료를 조사할 필요성을 주장한다. 그는 용어가 정의하는 범위 안에 4 요소를 말한다. 루터교, 칼뱅주의, 급진 종교개혁, 반종교 개혁(로마 가톨릭 종교개혁)이다. 이런 주장은 종교 개혁은 단지 루터의 교회개혁 운동으로 만 이해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사실상 종교 개혁은 기존의 중세 교회와 중세 철학 그리고 르네상스와 인문주의까지 모두 연결되어있다. 종교 개혁을 좀 더 자세하고 깊이 있게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 분야의 권위자들의 선행 연구를 통해 도움을 많이 받는다.  루터와 칼빈 관련 수많은 전공자들이 이 주제에 대한 귀중한 연구결과를 유산으로 주었다.

저명한 종교개혁가 연구가들
종교 개혁가들과 종교개혁 신학에 있어서 세계적인 연구가들은 이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루이스 W. 스피츠- 통합적 관점에서 시도를 한다, 사회경제 발전, 정치적 사건, 사상, 문학, 예술, 윤리, 신앙, 인간 정신, 문화, 종교 등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종교개혁사, P, 9)
하이콜 오버만- 중세 후기와 종교 개혁의 간격을 이어주는 분야에 연구에 공헌하였다.
야로슬라프 펠리컨- 루터라는 신학자로서 교회사와 교리를 정리하고 에큐메니컬 한 신학을 전개하였다.
앨리스터 맥그래스- 하나님의의 연구로 공헌하였으며, 종교개혁사상을 신학적 해석적 관점에서 정하였다. 복음주의적 관점에서 신학사와 신학의 교리들을 정리하였다.
헤르만 셀더하위스- 부처와 칼빈 연구에 전문가로서 종교개혁자들의 심층적 인간적 측면도 분석하였다.
질문들
·몇 가지 질문을 가지고 접근한다면 종교개혁 이해에 도움이 된다.

·종교 개혁이란 역사적 맥락에서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종교 개혁가들의 신학적 뿌리들

·대표적인 종교 개혁가들은 누구인가?

·다루어야 할 신학적 주제들은 무엇인가?

·종교 개혁의 중요한 신학적 주제인

→성경관, 권위의 문제, 칭의, 복음과 율법의 관계, 자유의지 논쟁, 성만찬 논쟁 등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종교 개혁가들의 신학의 특징과 원리와 방법은 무엇인가? ·

종교 개혁 연구 방법

불트만에 따르면 모든 해석은 전제가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종교 개혁을 해석하는 신학적 관점에서 다양하게 이해된다. 개신교, 성공회, 로마 가톨릭교회에 관련된 신학적 전통에서 나타난다. 종교개혁 연구가들의 종교개혁 해석에 대한 연구가 제시되었다. 오덕 교 교수에 따르면 종교개혁에 대한 해석은 해석자의 신학적 전제에 따라서 다양하게 평가된다고 한다.

로마 가톨릭교회 학자로 바로니 우스(Baronius), 메릴 따지네(Merle d'Aubigne), 하린니히 데니 프로(Heinrich Denifle), 하트만 그 기사(Hartman Grisar), 로스 윌리엄스(H. Rosse Williamson)가 있다. 이들은 주로 천 교주적 관점에서 루터나 종교개혁이 정통 교회를 이탈하였다고 서술한다.

세속적 해석으로 스미스(P. Smith) 에바 스미스(바 Eva Priester)는 종교개혁을 사회 구조의 변화, 경제적 변화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서술한다. 반 겔 뎌(Van Gelder)는 이성 중심적으로 종교개혁은 르네상스의 전통을 계승으로 성취된 것을 본다.

끝으로 프로테스탄트 학자들은 루터파 학자로 고든 럽(Gordon Rupp), 롤랜드 베인 튼(Roland H. Bainton), 게하르트 리터(Gerhard Ritter)가 있다.

개혁신학자로서 메릴 따지네(Jean Henri Merle d'Aubigne), 쟝 카드에(jean Cadier), 죠셉 보아텍(Josef Bohatec), 급진 종교개혁의 관점에서 보는 노만 콘(Norman Cohn), 조지 윌리엄스(George Hunston Williams)가 있다. 알

종교 개혁가들을 인물별로 연구한 학자들은 오버만, 스테판, 레벨링, 버나드 로세, 알리소터 맥그라스, 셀더하위스, 부으마, 파울 슈레켄바호와 프란츠 노이 베르트 등이 있다.

종교 개혁을 보다 더 깊게 연구하기 위하여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첫 번째 종교개혁을 연구하는 방법으로 먼저 인물을 중심으로 그들의 신학 원리와 방법을 추적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인 방식이지만 당시 사회적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기 힘들다.
두 번째 방식은 유럽의 사회와 역사와 문화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법이다. 교회 역사와 일반 역사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는데 장점이 있지만 종교개혁자들의 작품들에 나타난 사상을 이해하는데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세 번째는 교회론적 관점에서 종교개혁을 살피는 방법이다. 로마 가톨릭교회의 부패를 벗어난 성경 중심의 개혁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장점이 있지만, 성경적 관점이 약하여지고 지나치게 정치적 사회적인 관점으로 그리고 도덕적인 교훈적 관점으로 결론이 나올 확률이 많다. 에라스무스의 입장으로 볼 수 있다. 모범과 도덕적 교훈에 강조를 둔 그리스도의 철학이라는 한계를 갖게 된다.
네 번째는 에릭 에릭슨과 같은 학자의 《청년 루터 (Young man Luther: a study in psychoanalysis and history)》 (1958) 경우 인간의 심리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이다. 다른 대표적인 연구가 W.J. 부스 마의 <칼빈> 연구이다. 칼빈의 심리적 심층적 인간성 연구를 많이 다루었다.
다섯 번째는 반 교권주의적 접근 방법이다.  특별히 영국의 종교개혁은 롤라드 운동을 통하여 영국 사회 내 반교 권투의 의 영향 속에서 개혁되었다고 딕슨(Dickens)과 같은 학자는 평가한다.
여섯 번째는 주제별 연구이다. 종교 개혁자들이 주장했던 오직 성경이나 칭의 혹은 구원론과 같은 신학적 주제를 가지고 접근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으로 앨리스터 맥그래스의 <종교개혁사상>이다. 어느 특정한 방식에 치중하기보다는 다양한 관점 속에서 적절한 주제와 내용이 관련된 총체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루이스 W. 스피츠의 연구는 국가와 전쟁의 관점을 포함하여. 사회경제적 발전, 정치적 사건, 사상, 문화, 윤리, 인간 정신, 종교 등을 포괄적으로 통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참고 자료들
한상혁, 종교개혁연구사
김홍기, 종교개혁 배경 연구
종교개혁자들의 신학과 해석 방법론
루이스 W. 스피츠, 종교개혁사 (서울:기독교 문서선교회, 1983)
종교 개혁가들의 신학적 뿌리들
세계 역사 속에서 종교 개혁의 역사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하여 세계사 속에서 차지하는 종교개혁의 시대적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세계사 연대 표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

'종교학 역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 종교  (0) 2022.07.07
그리스 신화  (0) 2022.07.06
종교적 정체성  (0) 2022.07.06
불교의 교리  (0) 2022.07.05
불교학  (0) 2022.07.05

댓글